본문 바로가기

사자성어3

초급한자 따라쓰기(동문서답) 안녕하세요!  레인보우 학습장입니다. 초급한자 동문서답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.      동문서답  한자를 쓰는 방법과 의미, 유래를 살펴보고 아이와 함께 따라써 봅시다.  동문서답이란?'동문서답(東問西答)'은 **"동쪽을 묻는데 서쪽을 대답한다"**는 뜻으로, 질문과 전혀 맞지 않는 엉뚱한 대답을 할 때 쓰이는 사자성어입니다. 오늘은 이 사자성어를 구성하는 네 개의 한자를 하나씩 살펴보며, 의미와 획순, 유래를 익혀 봅시다!1. 동쪽 동 (東)뜻: 동쪽. 해가 뜨는 방향을 의미합니다.획순: 총 8획윗부분의 가로 획(一)세로 획을 아래로 긋기(丨)가운데에 짧은 가로 획 추가(一)'木'(나무 목) 부분을 완성유래:'東'는 나무(木)에 태양(日)이 걸려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로, 해가 떠오르는 동쪽을 뜻.. 2025. 3. 27.
사자성어 우이독경 안녕하세요!무지개 학습장입니다.오늘은 사자성어 우이독경 한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. 1. 우이독경의 뜻"우이독경(牛耳讀經)"은 한자를 풀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:牛(우): 소耳(이): 귀讀(독): 읽다經(경): 경전 "우이독경(牛耳讀經)"은 "소의 귀에 경(經)을 읽는다"는 뜻으로, 아무리 좋은 말이나 가르침도 알아듣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효과가 없다는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입니다.이 성어는 무지하거나 관심 없는 사람에게 아무리 이치에 맞는 이야기를 해도 소용이 없음을 비유하는 데 사용됩니다.  2. 우이독경의 유래우이독경은 중국의 고사에서 유래한 말로, 소의 귀에 대고 아무리 경전을 읽어도 소가 그 뜻을 이해할 수 없다는 상황에서 비롯되었습니다.줄거리:옛날, 한 학자가 농부의 소를 보고 한탄하며 말했습니.. 2025. 1. 5.
사자성어 조삼모사 조삼모사(朝三暮四): 의미와 유래를 알기 쉽게 풀어봅시다 1. 조삼모사의 의미"조삼모사"는 네 글자로 된 한자 성어로, **"아침에 세 개, 저녁에 네 개"**라는 뜻입니다.이 성어는 겉보기에는 다른 것 같아 보이지만, 실제로는 같은 결과를 가져오는 일이나, 눈앞의 이익에만 급급한 어리석음을 비유할 때 사용됩니다.한자 뜻 풀이:朝(조): 아침三(삼): 세 개暮(모): 저녁四(사): 네 개 2. 조삼모사의 유래조삼모사는 중국의 철학자 **장자(莊子)**가 쓴 《장자·제물론(齊物論)》에서 비롯된 이야기입니다.줄거리:옛날, 한 사육사가 원숭이들을 키우고 있었습니다.원숭이들에게 도토리를 나눠주는 일이 중요한 일상이었는데, 사육사는 원숭이들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."아침에 도토리 세 개, 저녁에 네 개를 줄게."이.. 2025. 1. 4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