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! 초급한자 이비인후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.
이비인후 한자를 쓰는 방법과 의미, 유래를 살펴보고 아이와 함께 따라써 봅시다.
이비인후란 무엇일까요?
'이비인후(耳鼻咽喉)'는 귀(耳), 코(鼻), 목(咽喉)의 세 가지 신체 부위를 가리키는 한자어입니다. 이 단어는 의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하며, 우리가 흔히 병원에서 접하는 '이비인후과'의 근간이 되는 용어입니다. 오늘은 이 한자들의 훈(뜻)과 음(소리)을 이해하고, 그 유래와 획순을 함께 배워볼까요?
1. 귀 이 (耳)
- 뜻: 귀. 소리를 듣는 기관을 뜻합니다.
- 획순: 총 6획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- 가로 획(一)
- 왼쪽 세로 획
- 안쪽의 꺾인 획(⺀)
- 오른쪽 꺾인 획
- 마지막 세로 획(丨)
- 끝을 닫는 짧은 가로 획
- 유래: '耳'는 고대 상형문자로, 귀의 형태를 본뜬 그림에서 유래했습니다. 길게 늘어진 부분은 귀의 바깥쪽, 안쪽은 귀 구멍을 나타냅니다.
2. 코 비 (鼻)
- 뜻: 코. 숨을 들이쉬고 냄새를 맡는 기관을 뜻합니다.
- 획순: 총 14획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- 위쪽 점 2개(丷)
- 가로 획(一)
- 중앙 세로 획
- 아래쪽 점(⺀)
- 마지막으로 '田'(밭 전)과 비슷한 구조의 네모 모양
- 왼쪽에 '自'(스스로 자) 구성
- 유래: '鼻'는 코와 관련된 형상을 나타냅니다. 고대 한자의 '自'(스스로 자)는 코를 가리키는 상형이었고, 그 아래 밭 모양은 코의 구멍과 관련된 구조를 의미합니다.
3. 목구멍 인 (咽)
- 뜻: 목구멍. 음식과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를 뜻합니다.
- 획순: 총 9획.
- 왼쪽 '口'(입 구) 그리기
- 오른쪽 상단의 점
- 이어지는 가로 획
- 아래쪽 꺾인 획과 점을 추가
- 마지막으로 수직과 가로의 작은 획들로 완성
- 유래: '咽'는 입(口)과 소리를 나타내는 음소적 요소가 결합된 글자로, 소리나 공기가 드나드는 통로인 목구멍을 상징합니다.
4. 목구멍 후 (喉)
- 뜻: 목구멍. 특히 발성을 담당하는 부분을 강조합니다.
- 획순: 총 12획.
- 왼쪽 '口'(입 구) 쓰기
- 오른쪽 상단에 획 3개(⺉)
- 중간 부분은 '侯'(우두머리 후) 쓰기
- 유래: '喉'는 '侯'(우두머리 후)의 의미와 결합해, 목구멍이 발성과 생명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상징적으로 나타냅니다.
'이비인후(耳鼻咽喉)'의 한자들은 우리 몸의 중요한 부분을 상징합니다.
획순을 지키며 연습하면, 한자를 더 쉽게 익힐 수 있습니다. 오늘 배운 한자를 통해 우리의 몸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길 바랍니다!
아래 도안을 다운받아 아이와 함께 자유롭게 작성해 보세요~^^
'한자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초급한자 따라쓰기(대중소) (0) | 2025.03.22 |
---|---|
초급한자 따라쓰기(동서남북) (0) | 2025.01.12 |
초급한자 따라쓰기 도안(춘하추동) (0) | 2025.01.06 |
초급한자 따라쓰기 (2) | 2024.12.23 |
한자요일 도안 (0) | 2024.01.04 |